이 글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는 케이댄스 ― 김은하 아트원컴퍼니 대표 (1)'에서 이어집니다.

이번 <희노애락> 시즌 2에서는 김문정 음악감독이 이끄는 오케스트라가 무대 위에서 라이브 세션으로 음악을 들려준다는 점도 이색적이에요.
다른 일로 미팅을 하러 갔는데, 더피트 김진욱 대표님이 콘서트에 대해 듣고 너무 좋아하셨어요. 재밌고 혁신적인 공연을 해보자며 의기투합했고, 김문정 감독님도 흔쾌히 수락하셨죠. 회사 구성원들이 지금도 물어봐요. 진짜 김문정 감독님과 더피트오케스트라가 오는 거냐고요.
댄스 콘서트는 관람객 각자가 열광하는 부분이 다를 텐데요. 어떤 감상을 안겨주고 싶으신가요?
융합 예술(종합예술)의 매력을 알려주고 싶어요. 댄스로 공연을 많이 하기 힘든 이유 중 하나는 융합이 어렵기 때문이에요. 몸으로 표현할 수 없다거나 비트가 다르다거나 해서요. 그 지점에서 소통이 안 되면 섭외부터 어렵죠. 하지만 제가 커뮤니케이션에 재능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만들 수 있어요. 관객들에게 여러 예술 장르가 하나로 어우러져 더 큰 예술을 만드는 융합 예술의 가치를 보여드리고 싶어요.
대표님이 생각하는 댄스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공감을 자아낼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거예요. 제가 댄스를 전공한 게 아니어서 댄스 아카데미 업계에서 입지가 좀 독특해요. 그래서 제 시선은 좀 다를 수 있고, 그게 제 장점이죠. 댄서의 삶과 춤에는 대중이 사랑할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 매력이라고 봐요.

이 분야에 발을 들이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으세요?
고정관념을 깨고 혁신을 이루려면 과감한 도전이 필요해요. 이 업계에는 대기업도 없고 체제의 안정성도 없거든요. 공연을 열어야 일이 있는 만큼 자신이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고 인생을 던져보는 것도 좋겠어요. 저도 앞으로 일해가면서 그런 분들을 많이 만나고 싶어요.
마지막으로 <희노애락> 시즌 2에 이어 앞으로 만들어가고 싶은 댄스 신의 새로운 문화는 무엇인가요?
어떤 일을 해야 할지 많이 고민해요. 춤을 시작하는 친구들을 보면 인생을 두고 꿈을 꾸기 시작하는 중학교 1학년부터 항로가 결정되는 고3 때까지 중간 과정에서 꿈을 제시하는 시스템이 없는 것 같아요. 학원 외에는요. 그 중간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작품을 계속 무대에 올리고 싶어요. 청소년의 꿈을 주제로 하든, 케이팝이나 케이댄스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다듬어서 가치 있는 자리를 만들어가고 싶어요.
글. 양수복
사진. 김슬기